체인 코인 전망
얼마 전 22년 10일 20일 빗썸에 체인 코인이 상장된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70~80%의 상장가 펌핑을 주고 횡보하는 중인데 암호화폐 시장은 나스닥(미국 주식)을 추종하게 되면서 상승, 하락에 대해서 많은 의견들이 있었습니다. 특히, 미국이 기준금리를 급격하게 올리면서 암호화폐 시장은 침체가 되었습니다. 암호화폐 시장은 다시 세계가 돈이 풀 때까지 기다려야만 하는 문제점이 봉착했는데 오늘 글은 XCN이라는 불리는 코인에 대해서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현재 가격이 거품인지 아닌지 파악을 하시게 될 거라고 보고 있습니다. 체인 코인 오늘 설명할 코인도 WEB3코인중 하나입니다.
여러 가지 회사들이 WEB3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도와주는 체인 코인
WEB3은 탈중앙화의 다른 말인 것은 다들 알고 계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체인 코인은 스포츠, 은행, 대기업, 엔터 등 여러 가지 회사들이 WEB3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즉, 회사들에게 블록체인 설루션을 준다고 보시면 되는데 Chain은 2014년에 설립됐는데 여러 대기업들에게 600억 이상의 자금을 투자를 받았으면 2018년에 스텔라에게 인수되었다고 합니다. 여기까지 정리를 하면 기업들에게 블록체인 시스템을 구축해주는 플랫폼을 운영 중이다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습니다. 거기에 더불어서 최근 NFT 사업을 하나 했었는데 싹 다 매진을 시키는 성과가 있었다고 합니다. 쉽게 설명하면 삼성이 NFT를 만들고 싶으면 하나부터 열까지 기술적으로 시스템적으로 싹 다 만들어줬다는 겁니다. 체인 코인은 회사들에게 블록체인 시스템, 클라우드, NFT 컨설팅을 기업들에게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XCN의 사용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NCN은 체인 플랫폼의 여러 가지 블록체인 상품(블록체인 설루션, NFT컨설팅)등 NCN의 서비스를 받을 때 사용된다고 합니다. 체인 코인 전망 코인의 전망에 살펴보기 위해서 상장된 거래소와 시가총액 공급량을 보겠습니다. 현재 XCN의 상장된 거래소는 코인베이스, 후오비 글로벌에 상장이 되어 있습니다. 미국의 코인베이스 상장이 된 것으로 보면 어느 정도는 규모가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현재 XCN의 사가총액은 2조이며, 공급량도 다 풀린 상태입니다.
체인 코인 시세
저는 체인 코인 전망에 대해서 그렇게 긍정적으로 보고 있지 않습니다. 코인이라는 것은 가치가 있냐 없냐에 따라 시세가 오르고 내립니다. 현재 체인은 블록체인 설루션과 NFT 컨설팅 사업을 합니다. 그 결제 수단으로 XCN을 활용하고 있고 근데 이 수단이 된 화폐가 2조가 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말이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XCN가 수요가 급증시킬만한 근거도 없을 뿐만 아니라 사업도 잘되는 건지도 모르겠습니다. 현재 블록체인 시스템을 제공한다고 했는데, 사실 현재 시장에서 잘 짜인 블록체인 설루션들은 너무 많습니다.(아발란체, 솔라나)등 결론적으로 2조는 너무 비싼듯하며 현재 빗썸 상장 때문에 쫌 오르는 듯싶은데 조심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체인 코인 시세 코인베이스, 체인 코인 체인이 빗썸에 상장한 지 2일밖에 안됬기 때문에 미국의 코인베이스 거래소를 통해서 시세를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2년 6월 코인베이스에 0.09달러에 상장한 뒤 꾸준히 가격이 내려갔습니다. 현재 체인 코인 시세는 0.066달러에 거래가 되고 있으며, 어제 빗썸 호재로 인해서 잠깐 반등한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현재 지지선으로 보이는 것은 0.066달러이며, 저항선은 0.08달러로 보입니다. 개인적으로 이런 코인은 안 사셨으면 좋겠습니다. 생태계도 없고, 시가총액만 높여서 서서히 개미들에게 물량 넘기려는 코인이라고 생각합니다. 단타는 굳이 말리지는 않겠지만 장투는 조심하시길 바라며 글 마치겠습니다.
'비트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앵커코인 시세및 전망과 웹3.0관계 (0) | 2022.10.22 |
---|---|
아이콘 코인 시세및 전망에 대한 분석 (0) | 2022.10.22 |
앱토스 코인 시세및 전망과 내생각 (0) | 2022.10.22 |
비트코인 향후 전망과 분석 소개 (0) | 2022.10.22 |
빙엑스 전망및 2가지 이벤트 소개 (0) | 2022.10.22 |
댓글